산행발자취모음 317

팔공산(관봉, 852, 대구 동구, 2009. 6. 28. 일)

- 산행일자 : 2009년 6월 28일 (일요일) - 산행지 : 팔공산(관봉, 852, 대구 동구) - 산행경로 : 집단시설지구 ~ 주능선10번 ~ 관봉 ~ 약사암 ~ 용덕사 ~ 용주암삼거리 ~ 시설지구 (휴식 2시간30분) - 개요 : 지난주 군자산에서 하산하며 발목부상을 당한 아내의 컨디션이 회복이 잘 되지 않는 것 같다. 멀리 갈 형편이 되지 못하고, 마을 지인들이 가까운 관봉(갓바위)을 찾는다 하니 간단히 바람을 쐬러 따라 붙인다. - 함께 : 아내외 마을 지인들 4인

군자산 (948.2, 충북 괴산, 2009. 6. 21. 일)

- 산행일자 : 2009년 6월 21일 (일요일) - 산행지 : 군자산 (948.2, 충북 괴산) - 산행경로 : 솔밭주차장 ~ 628봉(이정표) ~ 868봉 ~ 군자산 ~ 657봉 ~ 도마재(?,이정표) ~ 도마골입구(식사 휴식 5시간) ~ (포장도, 30분)주차장 - 산행개요 : 예로부터 '충북의 소금강'이라 불렸을 정도로 산세가 빼어난 산이다. 비학산이라고도 하고, 높이는 948m이다. 속리산 국립공원에 속해 있으며, 온 산이 기암 석벽과 암릉으로 이루어져 산세가 험준하다. 정상에서의 전망은 동쪽으로 쌍곡계곡, 보개산, 칠보산, 희양산, 백화산, 악휘봉으로 이어지는 험준한 산맥의 흐름이 고고하고 남쪽으로는 대야산, 그 너머로 속리산의 연봉들이 공룡의 등처럼 울퉁불퉁하게 이어져 있다. - 함께 : 아..

망산 (294, 통영시 한산면 - 한산도, 2009. 6. 13. 토)

- 산행일자 : 2009년 6월 13일 토요일- 산행지 : 망산 (294, 통영시 한산면 - 한산도) - 산행경로 : 한산면사무소 ~ 팔각정1 ~ 팔각정2(휴월정) ~ 망산 ~ 망산교 ~ 소고포 갈림길 ~ 더풀개 ~ 제승당 선착장 (식사 휴식 포함 4시간30분) - 산행개요 : 한산도는 한산면의 주도이자 한려해상공원의 출발점이다. 즉 행정적으로나 관광적으로도 꽤 중시되는 섬인 것이다. 한려란 말도 한산도와 여수의 첫글자를 따온 것이다.망산은 바로 이 섬의 주봉이자 상봉이다. 높이는 고만고만하지만 이 산 역시 섬 산의 상봉답게 주변 조망이 탁월하다. 한려해상공원의 갖가지 섬은 물론 주변 내륙의 웬만한 산까지 거의 다 조망된다. 조망을 즐기는 산꾼의 경우엔 이것만으로도 충분히 매력적이다. 그러나 망산은 조망..

포암산(962, 충북 충주, 2009. 6. 7. 일)

- 산행일자 : 2009년 6월 7일 (일요일) - 산행지 : 포암산(962, 충북 충주, 제천) - 산행경로 : 만수휴게소 ~ 미륵리사지 ~ 하늘재 ~ 하늘샘 ~ 포암산 ~ 관음재 ~ 만수골 ~ 만수휴게소 (식사 휴식 산딸기 6시간30분) - 산행개요 : 백두대간의 주능선상에 있으며 월악산국립공원의 가장 남쪽에 속한다. 옛날에는 이 산을 베바우산이라고 하였는데 이는 반듯한 암벽이 키대로 늘어서 있어 거대한 베 조각을 이어 붙여놓은 듯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백두대간의 중심부에 자리잡고 있고 산세가 험하여 삼국시대부터 군사적 요충지였다. 이 산 밑 고개인 하늘재는 신라시대부터 사용한 옛고개로 북방의 문화를 영남지방에 전해주던 관문이었고 지금도 성벽이 남아 있다. 하늘재 밑의 미륵사지는 고려 초기에 조..

화악산 (930.4, 경북 청도, 2009. 5. 31. 일)

- 산행일자 : 2009년 5월 31일 (일요일)- 산행지 : 화악산 (930.4, 경북 청도) - 산행경로 : 평양리 평지마을 ~ 밤티재 갈림길 ~ 화악산 ~ 915 돌탑봉(추모비) ~ 불당 ~ 평지마을 (식사, 휴식, 고사리, 산딸기 등으로 많이 지체한 산행, 약 5시간 30분 소요) - 산행개요 : 경북 청도군 청도읍의 한재는 지리적으로 보면 경남 밀양과 경북 청도의 경계에 있는 화악산(930.4m)이 마을을 서쪽에서 감싸고 있는 곳이다. 미나리 재배단지로서도 유명하고, 개인적으론 몇년전 들머리를 찾지 못해 밤티재에서 칼국수를 먹고 잠깐 올랐던 산 이기도 하다.장인 생신이라 저녁을 처가에서 같이 들자고 하여 아침부터 바쁘게 설쳐 대었지만 산행 초입부터 고사리가 마눌의 발목을 잡고 만다. 경험 상, ..

황장산(1,077, 경북 문경, 2009. 5. 24. 일)

- 산행일자 : 2009년 5월 24일 - 산행지 : 황장산(1,077,작성산, 경북 문경) - 산행경로 : 안생달 ~ 배창골 ~ 폐광산 ~ 작은차갓재 ~ 황장산 ~ 산태골 ~ 안생달 (식사 휴식포함 4시간 소요) - 산행개요 : 백두대간 상에 위치한 황장산은 암산으로 옛 지명은 까치성(작성)산이었으나 조선 숙종 조에 봉산(封山)으로 정해지면서 황장산으로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봉산으로 정해진다는 것은 왕실에 필요한 목재를 확보하기 위해 국가가 직접 관리하던 산이라는 뜻이다. 황장산은 대미산 옆에 있는 산(문경시 동로면과 제천시 덕산면 경계)이다. 조령산을 지나 조령관문을 넘고 부봉을 거쳐 계립령(하늘재)를 통과한 백두대간은 다시 포암산과 마골치를 거쳐 대미산에 이르러 한 번 크게 그러나 밋밋하게 솟구친..

도락산(964.4, 충북 단양 월악산 국립공원, 2009. 5. 10. 일)

- 산행일자 : 2009년 5월 10일 (일요일)- 산행지 : 도락산(964.4, 충북 단양 월악산국립공원) - 산행경로 : 상선암주차장 ~ 제봉 ~ 신선봉 ~ 도락산 ~ 신선봉 ~ 채운봉 ~ 선바위 ~ 상선암주차장 (5시간 10분 소요, 점심 휴식 포함) - 산행개요 : 소백산(小白山:1,440m)과 월악산(月岳山:1,093m) 중간에 있는 바위산으로 일부가 월악산국립공원 안에 들어 있다. 도를 즐기는 산이라 하여[道樂]산이라 부르고,우암 송시열은 '깨달음을 얻는 데는 나름대로 길이 있어야 하고 거기에는 또한 즐거움이 뒤따라야 한다'라는 뜻에서 산이름을 지었다고 전해진다.계속되는 급경사 바위의 오르내림 능선길과 무더운 날씨에 전국에서 모여든 산객들도 많이 지치는 표정들이다. 개인적으로 산 이름을 달리 ..

삼정산(1261, 경남 함양 마천, 2009. 5. 3. 일)

- 산행일자 : 2009년 5월 3일 (일요일)- 산행지 : 삼정산(경남 함양, 전북 남원, 1261)- 산행경로 : 영원사 ~ 상무주암입구 ~ 상무주암 ~ 헬기장 ~ 삼정산(1,261) ~ 헬기장 ~ 영원봉(1,289.5) ~ 영원령 ~ 영원사 (약6시간, 점심 휴식포함) - 산행개요 : 밤새 내린 비는 집을 나설때 까지 흩날리고 있다. 산행을 하면서도 오전내내 햇살은 구경하기 힘들었다.삼정산은 지리산 자락이지만 주능에서 한 발 비켜서 있다.때문에 천왕봉에서 동서로 뻗어내린 지리산 주능선 서북릉 대부분을 바라볼 수 있고, 기슭기슭에 7개의 절과 암자를 거느리고 있다. 산 전체가 작은 불국토(佛國土)인 샘이다.석가탄신일이 하루 지난 날, 지리의 한 켠으로 파고들어 본다. 아뿔싸...그런데 이 코스가 비법..

백악산(856, 충북 괴산 청천, 경북 상주 화북, 2009. 4. 26. 일)

- 산행일자 : 2009년 4월 26일 (일요일) - 산행지 : 백악산(858, 충북 괴산 청천, 경북 상주 화북) - 산행경로 : 입석교 ~ 수안재 ~ 부처바위 ~ 대왕봉 ~ 백악산 ~ 헬기장 ~ 강아지바위 ~ 옥양폭포 ~ 옥양교(약 6시간 소요, 식사 휴식 족탕포함) - 산행개요 :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사담리와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중벌리의 경계에 있는 산으로 높이는 856(858)m이다. 속리산국립공원에 속해 있는 봉우리로, 문장대에서 화양구곡으로 뻗은 능선에 솟아 있다. 백 개의 봉우리가 있다는 백악산에는 약 40m 높이의 옥양폭포를 포함한 폭포 2개와 암봉 4개가 어우러져 경관이 빼어나다. 선산휴게소에 들러 아침식사를 하고 옥양교를 지난 너른 공터(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약 10여분을 걸어..